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민·관·협회소식

리모델링 철회, 재건축에 눈길

신형범 기자 입력 2024.02.09 09:53 수정 2024.02.09 09:53

최근 서울 송파구 아남아파트가 리모델링 사업을 거쳐 328가구의 아파트로 탈바꿈했다. 송파구는 ‘아남아파트 리모델링 주택사업에 대한 사용검사(준공)’를 처리했다. 2012년 수평증축을 통해 가구 수 증가형 리모델링이 가능해진 이후 첫 사례다. 하지만 기존 용적률 높은 아파트도 리모델링이 아니라 재건축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규제거 완화되면서 사업 방식을 놓고 갈등의 요인을 품고 있다. 

 

수평증축 리모델링으로 지하 1층~지상 15층, 299가구에서 지하 3층~지상 16층, 328가구로 바뀌었다. 용적률은 283%에서 430%로, 가구당 전용면적은 기존 37~84㎡에서 52~106㎡로 늘어났다. 리모델링으로 늘어난 29가구는 2022년 일반 분양했다.


주차 등 기존 아파트의 고질적인 문제도 개선됐다. 지하 주차장을 증축해 주차대수가 기존의 두 배인 320대로 늘었다. 인덕션을 설치하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도 도입해 100%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전체 1개 층 필로티 시공, 1개 층 수직증축, 지하층 하향 증설공법 등 리모델링 관련 특허와 신기술도 적용됐다. 

리모델링은 기존 아파트를 철거하는 재건축과 달리 골조를 유지한 채 증축하는 방식이다. 재건축을 강하게 규제하던 벅규 아래 안전진단 통과가 어렵거나 용적률이 높은 단지를 중심으로 리모델링을 추진한 사례가 많았다. 한국리모델링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조합이 설립된 공동주택 리모델링 단지는 전국 151개 단지, 12만621가구다.

 

송파구에서 첫 가구 수 증가형 성공 사례가 나왔지만 업계 반응은 미적지근하다. 정부가 수직증축과 안전성 검토 등에 높은 기준을 적용해 사업이 지연되던 와중에 최근엔 대놓고 리모델링 단지가 재건축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정책을 내놓고 있어서다.

안전진단 규제 완화로 분위기가 달라졌다. 2008년부터 리모델링을 추진해온 강남구 개포동 대치2단지는 오는 4월 조합 해산 총회 개최를 검토 중이다. 앞서 지난해 3월 송파 거여1단지가 리모델링추진위를 해산했다. 송파 강변현대 리모델링조합도 조합 해산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업계에선 고용적률 적용 정책이 정비사업 속도를 되레 늦출 수 있다고 우려한다. 사업이 어느 정도 진행된 단지에서조차 사업 재검토 움직임이 나오고 있어서다.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에 따르면 전국 108개 택지지구가 허용 용적률을 법적 상한의 1.5배까지(준주거 기준 최대 750%) 받을 수 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사업성이 낮은 단지는 리모델링을 선택해 사업을 빨리 추진하는 게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한국집합건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