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노후 아파트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1기 신도시 재건축 2030년 입주
- 재개발 노후도 요건 60%로 완화, 신축 빌라 있어도 착수
- 도시형 생활주택·오피스텔·다가구 세금 산정 시 주택 수에서 제외
- 그린벨트 해제 등 신규택지 2만호 발굴, 공공주택 14만호 +ɑ 공급
![]() |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 |
준공된 지 30년이 지난 아파트는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 착수가 가능해집니다. 재개발은 노후도 요건이 60%로 완화되고 신축빌라가 있어도 추진할 수 있게 됩니다.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 재건축은 2030년 첫 입주를 위해 올해 선도지구가 지정됩니다.
또한, 수요가 많은 도심에 신축 주택을 활발하게 공급하고 1~2인 가구 증가 등에 부응하기 위해 기존 정비사업으로 사업이 어려웠던 소규모 재건축, 소규모 재개발, 가로주택정비, 자율주택 정비 사업 등의 절차가 간소화되고 추진 속도가 빨라집니다. 오피스텔에 발코니 설치를 전면 허용하는 등 건축 규제도 완화합니다.
![]() |
정부는 1월 10일(수) 노후신도시 재정비가 예정된 지역에서 대통령 주재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두번째」를 개최하고,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민생 토론회에서는 주거문제로 고민을 겪고 있는 청년‧신혼부부, 낡은 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나 재건축에 어려움이 있어 불편을 겪는 재건축단지 주민,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자 등 각계각층의 국민이 참여하여 ‘국민이 바라는 주택’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 했습니다.
정부는 다음 4가지 대응방안을 통해 국민이 바라는 주택공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
![]() |
![]() |
![]() |
구조조정 등에 대비하여, 대체시 공사 풀 마련 등 신속한 공사 재개를 지원합니다. 아울러 입주지연 등 수분양자 불안해소를 위한 지원책과 대금체불 등 하도급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원책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건설투자 활성화를 위하여 국토부 집행관리대상 예산인 56조원(전년比 +5.5조)의 35.5%인 19.8조원을 ’24.1분기에 집중투자하며, 개량형 민자모델 구축, 정기적 민자사업 평가제 등으로 민자사업을 적극 추진하겠습니다.
정부는 국민 수요에 맞는 도심공급 촉진과 공공물량 확대를 통해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건설산업의 활력도 도모해 나갈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