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도권의 유동인구 집중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상가 등 부동산 임대료는 오르는 반면 지방은 인구 감소, 이에 따른 구매력 하락 등으로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연면적 330㎡ 이상 중대형 상가 임대료는 전분기 대비 0.0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면적 330㎡ 이하 소규모 상가와 집합상가도 각각 0.14%, 0.11% 떨어졌다. 그러나 서울지역의 상가 임대료는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중대형 상가 임대료는 전 분기 대비 0.27% 올랐다. 젊은층이 몰리고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팝업스토어 등이 운영되는 중대형 상가의 경우 충무로, 뚝섬 등이 전 분기 대비 각각 1.40%, 1.7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상가와 집합상가도 전 분기보다 0.26%, 0.13% 올랐다.
반면 17개 지방자치단체 중 서울과 충남을 제외한 15곳은 상가 임대료가 일제히 하락했다. 전북은 관광지를 제외한 대학가, 구도심 등지에서 폐업이 잇따르며 중대형 상가 임대료 전 분기보다 0.47% 떨어졌다. 세종은 상가 공급 과잉으로 집합상가 임대료는 같은 기간 대비 0.28% 하락했다.
![]() |
![]() |
|
공실률도 서울과 지방 간 차이가 확연하다. 올 해 2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공실률(13.5%)은 전 분기보다 0.2%포인트 올랐다. 서울(8.4%)과 달리 울산(21.6%) 세종(20.1%) 경북(19.5%) 전북(18.3%) 등은 전국 평균치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지역 경기의 바로미터로 꼽히는 상가시장이 이처럼 서울 지방 간 격차를 보이는 것은 "지방이 누적된 인구 고령화와 소비력 감소가 경기 침체로 이어진 결과"라며 "상가 공실이 누적되면 지역 인프라와 상권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