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부실 시공을 막기 위해 '서울형 감리'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김헌동 SH 사장은 8일 송파구 위례신도시 한 근린공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시공품질 확보와 현장 안전관리, 부실시공 방지를 위해 아파트가 설계에 따라 제대로 시공하는지를 관리, 감독하는 감리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면서 "뛰어난 기술을 가진 감리사를 모셔 SH가 직접 대가를 지급하고 감리업체가 중간에 가로채지 못하도록 바꾸겠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철근 누락' 사태를 일으킨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언급하면서 "SH는 지하주차장 기둥 상단부에 드롭패널이 형성된 무량판 구조"라며 "LH 구조형식과 비교할 때 슬래브에 구멍이 뚫리는 편칭현상 방지에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주 내에 지하주차장 현장 조사를 끝내고 주거동에 대한 점검은 필요성을 따져 국토교통부 일정에 맞춰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날 '건설 이권 카르텔을 부수는 방법은 분양원가를 포함한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라며 서울 위례신도시의 마지막 공공분양 단지인 송파구 위례지구 A1-5블록(포레나송파)의 분양원가도 공개했다. 한편 김 사장은 검단아파트 붕괴사고 이후 불거진 무량판구조의 건축물 부실공사와도 선을 그었다. SH는 최근 5년 안에 준공한 단지 중 무량판구조가 적용된 공공아파트 8곳을 대상으로 전단 보강 철근탐사와 콘크리트 비파괴 압축강도시험 등 정밀조사를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