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민·관·협회소식

서울 강남 꼬마빌딩 3년 안에 되판다

신형범 기자 입력 2023.08.29 20:42 수정 2023.08.29 20:42

올해 상반기 서울 강남구 꼬마빌딩 매매의 절반은 매도인이 건물을 산지 3년 안에 되판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풍부한 유동성으로 선호도가 높은 강남의 지가가 빠르게 오르자 시세차익을 노리고 빌딩에 투자한 사례가 많았다는 분석이다. 28일 토지건물 빅데이터 플랫폼 '밸류맵'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분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거래된 강남구 업무상업시설 55건 중 26건이 3년만에 다시 판 것으로 조사됐다.

매입 후 1년 안에 매도가 6건, 1년 초과 3년 이하는 20건이다. 수익률도 높다. 올해 상반기 1년 만에 팔아치운 건물의 연간 상승률은 9%, 2년 만에 팔았을 때는 연간 14%의 수익률을 보였다. 특히 재작년 강남 꼬마빌딩을 매입한 후 작년 상반기에 되판 매도인들은 연간 가격 상승률이 44%에 달했다. 이에 한 부동산중개법인 팀장은 “단타를 노린 빌딩투자자들에게는 환금성이 좋은 강남구가 다른 지역보다 인기가 많다”라고 설명했다.

서초구도 올해 상반기 거래 29건 중 9건은 매수 후 3년이 안 돼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 빌딩 매매수익률은 강남구보다 높았다. 올해 상반기 1년 만에 팔아치운 매도인의 연간상승률은 19%, 지난해 상반기 1년 만에 판 매도인의 수익률은 48%를 나타냈다. 강남구 논현동 언주역 인근 꼬마빌딩은 2021년 2월에 38억원에 매입한 후 건물을 다시 지어 1년 2개월만에 90억원에 되팔아 단기간에 큰 수익을 낸 사례는 흔하다.

전문가들은 빌딩을 짧은 기간에 매도하면서 큰 수익을 내면 양도세 등 부담도 있지만 과거 제로(0)에 가까운 저금리 상황이었기에 가능했지만 최근 금리가 급등하면서 앞으로 이같은 수익률 실현은 어려울 것이라 전망했다. 특히 지난 해 상반기 단타로 큰 수익을 내고 매도한 사례들이 많았는데 크게 올랐던 빌딩 가격이 최근 주춤하면서 빌딩 단타로 큰 수익을 내는 사례들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한국집합건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