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피스텔을 주택 수에 합산하면서 주택재산세에 종합부동산세까지 물어야 하자 오피스텔 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구매를 희망하는 매수자는 쉽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지하철 2호선 사당역 초역세권 오피스텔(전용 25㎡)을 2014년에 1억8000만 원에 매수한 A씨는 "월 70만 원의 월세를 받지만 은행 이자를 내고 나면 남는 게 없다. 오피스텔 탓에 종부세 부담만 늘었다."고 한탄한다. 게다가 10년 넘게 거주 중인 아파트를 ‘갈아타기’ 하려는데 오피스텔이 주택 수로 잡히는 바람에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한다. A씨는 결국 오피스텔을 10년 전 가격인 1억8000만 원에 내놨지만 매입을 희망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또 마포구 합정역 초역세권 오피스텔(전용 23㎡)을 2020년 2억8700만 원에 매입한 B씨도 시세차익 없이 내놓았지만 결과는 신통치않다.
이처럼 오피스텔이 애물단지가 되자 거래시장은 꽁꽁 얼어붙고 있다. 아파트 시장은 올해 초 바닥을 찍은 뒤 반등으로 들어섰지만, 오피스텔 시장은 여전히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7월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99.55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이 신표본으로 오피스텔 동향 조사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20년 이후 최저다. 2020년 99.96이었던 지수는 2021년 100.78, 2022년 102.82까지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으나 지난해 6월 이후 14개월 내리 하락세다. 지난 7월에도 전국 모든 지역의 매매가격지수가 하락해 반전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이 같이 오피스텔이 외면받는 배경에는 아파트보다 주거환경이 열악한데도 2020년부터 아파트와 같은 주택 규제를 받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투자자들은 고금리와 주택 규제 탓에, 무주택자들은 생애 첫 주택으로 아파트를 원하기 때문에 오피스텔을 취득하지 않는다. 다만 전·월세 수요는 충분한 탓에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7월 기준 84.62%에 달한다.
소유자들은 오피스텔을 주택 수에 포함했던 규제를 풀어줄 것을 정부에 호소하고 있다. 아파트와 형평성 문제가 자꾸 제기되는 현실에서 수요 쪽을 건들면 투자나 투기수요가 몰려 주택시장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우려 또한 커지기 때문에 정부가 어떤 선택을 할 지 관심이 모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