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이 침체함에 따라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의 인기도 차갑게 식었다. 지난 해보다 시험 접수인원이 10만명 가까이 줄었고 일부 고사장의 경우 결시율이 30%에 달했다.
지난 28일 '제34회 공인중개사 국가 자격시험'이 치러진 서울의 한 시험장은 25명 중 16명만 자리를 채웠다. 절반을 채우지 못한 고사장도 적지 않았다. 지난 해 하반기부터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거래가 주참하자 공인중개사 인기도 예전만 못하다.
![]() |
![]() |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이번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접수자는 28만7174명. 전년(38만7710명)보다 10만536명이 줄었다. 1·2차 통합 접수인원 8만5539명이 포함된 숫자라 실제 순 접수자는 20만1635만명으로 집계됐다. 결시율도 증가하고 있다. 2021년 제32회 시험의 1차 시험 결시율은 25%였는데 제33회 1차 시험 결시율은 약 27%로 2%포인트 늘었다. 올해 시험은 아직 집계 전이지만 3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호황기던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접수자는 2021년 39만9921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매년 줄어들고 있다.
그런데 지난 해 말부터 시작된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로 주택가격 하락하고 거래량까지 급락하자 공인중개사 인기는 시들해졌다. 이를 반영하듯 자격시험 접수자 수도 급감해 2016년(27만3251명) 수준으로 돌아갔다. 집계 이래 처음으로 공인중개사가 개업자보다 사무실을 닫는 사업자가 더 많아졌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 폐업한 공인중개사는 1001곳, 휴업은 지난 달(89곳)보다 늘어난 95곳으로 집계됐다.
이 달까지 누적 폐업 사무실은 1만586곳, 휴업은 1028곳이다. 반면 개업은 같은 기간 9611곳으로 폐·휴업 사무실보다 2003곳이 적다.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개업자보다 폐업자가 많아진 것이다.
![]() |
![]() |
|
업계 관계자는 거래가 줄어들면서 집값이 하락하고, 이에 다시 거래가 사라지는 악순환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당분간 거래 회복이 어렵다고 본 공인중개사들이 휴·폐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인중개사의 개·폐업률은 향후 부동산 거래량을 전망하는 지표로도 볼 수 있는데 폐업을 선택한다는 건 현장에서는 앞으로 거래량이 늘고 시장이 활성화되기 어렵다고 보는 시각이 강하다. 금리가 갑자기 하락으로 돌아서거나 주택시장에 대규모 호재가 나타나지 않는 한 올 해 안에 폐업률이 줄어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