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처럼 오피스텔도 서울과 수도권 간 가격이 점점 벌어져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매매가와 월세가 같이 오르는 서울과 달리 인천 등은 매매가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기와 인천은 오피스텔 신규 공급이 줄어들면서 월세는 계속 뛰고 있다.
![]() |
![]() |
오피스텔 거래는 소폭 늘어나는 추세다. 올 1분기 인천 오피스텔은 831건 매매됐다. 지난해 1분기(767건)보다 많다. 직전 분기(730건)와 비교해도 늘어났다. 같은 기간 경기도도 2604건에서 2848건으로 증가했다.
공급은 줄고 거래량이 늘면 매매가는 올라가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인천과 경기 오피스텔 가격은 회복되지 않고 있다. 올해 1분기 오피스텔 가격은 인천(-0.81%→-0.96%)은 전분기보다 하락폭이 확대됐다. 전용면적 ㎡당 가격도 지난해에는 354만원에서 지난달 기준 346만원으로 소폭 내렸다. 경기 지역 오피스텔은 전분기보다 0.4% 뒷걸음질 쳤다. 2022년 7월(-0.01%) 하락 전환한 이후 2년 넘게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미분양이 여전한 데다 수익형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거래 부진으로 매물이 쌓인 탓이다. 3~4년 전 공급한 인천 ‘계양 유탑 유블레스’(408실), ‘석남역 브라운스톤 더프라임’(134실) 등에 여전히 미분양 물량이 있다.
반면, 올 들어 서울 오피스텔 가격은 오르고 있다. 지난 1월(0.01%) 2개월 만에 상승 전환하는 등 올해 1분기 0.03% 올랐다. 서울과 달리 인천과 경기 오피스텔 가격은 반등하기까지 적잖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투자 수요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오피스텔은 아파트보다 환금성이 떨어지고 가격 기대가 크지 않아 선호도가 낮은 편이다. 금리가 낮아지거나 대체재인 아파트값이 급등하지 않으면 수요 유입이 더딜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 와중에 오피스텔 임차 수요는 꾸준하다. 연립·다세대(빌라)보다 정주 여건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전세사기 여파로 전세 수요가 월세로 이동하며 오피스텔 월세도 오르고 있다. 올 1분기 서울 오피스텔 월세는 전 분기보다 0.44% 상승했다. 인천과 경기는 각각 1.3%, 0.43% 올랐다. 인천 연수구 송도동 ‘힐스테이트 송도 더스카이’(전용 59㎡)는 올 3월 보증금 3000만원, 월세 120만원에 세입자를 찾았다. 지난달에는 경기 용인 기흥 ‘기흥역 파크 푸르지오’(전용 84㎡)가 보증금 1억원, 월세 105만원에 신규 계약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