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민·관·협회소식

소방청, 개정판 ‘전기차 화재 대응 지침서’ 전국 보급한다.

남길동 기자 입력 2025.07.01 19:06 수정 2025.07.01 19:09

- 전기차 화재 대응전략 진화.. 현장 활용도 높인 대응 가이드 개정 발간
- 전기차 보급 증가에 따른 현장 대응력 강화 목적.. 전국 소방서 배포 예정
- 실전 대응 사례 포함.. 전기차 배터리 실증 실험 결과 등 산·학·관 공동연구 성과 반영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원장 김연상)은 최근 급증하는 전기차 화재 현장에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현장 맞춤형 실무 지침서인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판”을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 개정판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표지 / 국립소방연구원 제공

지난 2023년 3월 “전기차 화재 대응 초판 가이드” 발간 후 이번 개정판을 통해 기존 승용차 대응 방법 외 ▲전기 트럭 등 상용 전기차 대응 절차 (차량 구조, 화재 특성, 배터리팩 실증 실험 기반 화재 대응 방법) ▲폭발 등 고위험 사례 (전기차 배터리팩 폭발, 관통형 특수진압장비 적용, 전동지게차 화재 대응 등) ▲특수 진압 장비 적용 방식 등 다양한 실전 사례를 체계적으로 반영했다.

또한, 실제 전기차 배터리 실증 실험 결과는 정밀하고 안전한 대응 전략 바탕으로 ▲배터리 팩 화재 특성 분석 결과까지 추가했다.

이번 개정 가이드는 전기차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의 이해도 및 안전 확보하는 데 단순한 개념 설명이 아닌, 차량 구조와 배터리의 화재 패턴에 따라 대응 방법을 단계별로 제시했다. 관통형 특수 진압장비의 적용 사례, 전동지게차와 같은 특수 전기차량의 화재 대응 등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까지 포함됐다.

↑↑ 전기 버스 등 상용 전기차 화재, 폭발 등 고위험 사례에 대비한 전기차 화재 대응을 훈련하고 있다 / 사진제공 한진GTC

특히, 국립소방연구원과 현대자동차, 한국자동차공학회가 함께 수행한 ‘산학관 공동연구(2024~2027)’의 중간 성과를 바탕으로 완성도까지 높였다. 이어 공동연구 결과를 반영해 현장성이 강화된 과학적 대응 가이드로 진화했다.

김연상 국립소방연구원장은 “전기차 화재 시 내연기관 차량과 전혀 다른 특성을 보여 이에 맞는 맞춤형 대응이 필수적이다”며 “이번 개정 가이드는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과학적 분석과 사례 중심으로 구성된 만큼 전기차 화재 대응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한국집합건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