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원장 김연상)은 최근 급증하는 전기차 화재 현장에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현장 맞춤형 실무 지침서인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개정판”을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
|
|
↑↑ 개정판 '전기차 화재 대응 가이드' 표지 / 국립소방연구원 제공
|
|
지난 2023년 3월 “전기차 화재 대응 초판 가이드” 발간 후 이번 개정판을 통해 기존 승용차 대응 방법 외 ▲전기 트럭 등 상용 전기차 대응 절차 (차량 구조, 화재 특성, 배터리팩 실증 실험 기반 화재 대응 방법) ▲폭발 등 고위험 사례 (전기차 배터리팩 폭발, 관통형 특수진압장비 적용, 전동지게차 화재 대응 등) ▲특수 진압 장비 적용 방식 등 다양한 실전 사례를 체계적으로 반영했다.
또한, 실제 전기차 배터리 실증 실험 결과는 정밀하고 안전한 대응 전략 바탕으로 ▲배터리 팩 화재 특성 분석 결과까지 추가했다.
이번 개정 가이드는 전기차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의 이해도 및 안전 확보하는 데 단순한 개념 설명이 아닌, 차량 구조와 배터리의 화재 패턴에 따라 대응 방법을 단계별로 제시했다. 관통형 특수 진압장비의 적용 사례, 전동지게차와 같은 특수 전기차량의 화재 대응 등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까지 포함됐다.
|
|
|
↑↑ 전기 버스 등 상용 전기차 화재, 폭발 등 고위험 사례에 대비한 전기차 화재 대응을 훈련하고 있다 / 사진제공 한진GTC
|
|
특히, 국립소방연구원과 현대자동차, 한국자동차공학회가 함께 수행한 ‘산학관 공동연구(2024~2027)’의 중간 성과를 바탕으로 완성도까지 높였다. 이어 공동연구 결과를 반영해 현장성이 강화된 과학적 대응 가이드로 진화했다.
김연상 국립소방연구원장은 “전기차 화재 시 내연기관 차량과 전혀 다른 특성을 보여 이에 맞는 맞춤형 대응이 필수적이다”며 “이번 개정 가이드는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과학적 분석과 사례 중심으로 구성된 만큼 전기차 화재 대응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