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 여파로 오피스, 상가 같은 상업용 부동산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오피스빌딩 공실률을 놓고 조사기관마다 다른 통계를 내놓고 있어 시각에 따라 판단이 필요해 보인다.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이 발표한 '1분기 오피스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3월 서울시 오피스빌딩 공실률은 3.16%로 2022년 3월(3.23%) 이후 가장 높다. 올 1월 2.83% 2월 3.06%에 이어 3개월 연속 상승 중이다. 권역별로 보면 도심권역 공실률이 3.35%로 전월 대비 0.31%p 올랐고 강남권역은 3.34%로 전월 대비 0.06%p 내렸다. 여의도권은 2.34%로 0.07%p 떨어져 도심권역 공실률 상승폭이 유독 컸다. 다른 민간업체인 알스퀘어의 1분기 오피스시장 분석 보고서를 보면 도심권역(3.1->4.1%) 강남권역(3.2->4.5%) 여의도권역(1.3->3.0%) 모두 전 분기 대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한국부동산원이 최근 발표한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 조사'에서는 서울 오피스 공실률이 전 분기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공실률은 5.2%로 전 분기보다 0.4%p 낮아졌는데 특히 도심권(7.5%) 공실률은 전 분기(9.6%)에 비해 2.1%p나 떨어졌다. 반대로 강남권과 여의도 마포지역 공실률은 약간 상승했다.
이 같은 차이는 조사 대상 오피스빌딩과 조사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의 경우 전국 16개 시.도 824개 빌딩을 대상으로 표본조사하는 방식을 활용한다. 반면 민간업체들은 보유하고 있는 빌딩 데이터에 기반해 전화. 설문 형태로 전수조사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또 알스퀘어는 서울과 분당의 연면적 3300제곱미터 이상 오피스빌딩 945개 동을 표본 대상으로 삼는다.
이런 조사방식의 차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조사기관별로 공실률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시계열상으로도 다른 흐름이 생길 여지가 있다고 지적한다. 즉, 한국부동산원은 표본을 정해 같은 빌딩의 공실 여부를 조사하는데 비해 민간업체는 상대적으로 공실이 많은 신축 오피스까지 전수조사하기 때문에 결과가 차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다 리모델링이 진행될 경우 일시적으로 공실률이 높아지는 변수도 있기 때문에 분기별로 공실률의 등락을 보기보다는 1년 단위의 시계열로 시장 상황을 살펴보는 게 현실을 더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고 보는 전문가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