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숙과 오피스텔이 허가·분양됐지만 2021년 정부가 생숙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현재는 임차인은 없고 '마이너스 프리미엄'까지 붙은 상황"이라며 "책임은 지역수요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이 당시 개발을 승인하고 주도한 경기도에 있다"고 지적했다.
"상가나 생숙투자는 결국 개인의 책임이고 과대광고를 했던 시행사의 문제가 더 크다"고 덧붙였다.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호텔과 컨벤션센터를 비롯해 주거시설이 들어서는 청사진을 제시했지만 현재는 생숙 무덤으로 전락했다.
정부는 이행강제금 부과 등 규제에 나섰고 미분양이 증가로 이어지며 계약포기 사례도 속출했다. 현재는 분양가보다 가격이 떨어진 이른바 '마이너스 프리미엄' 딱지가 붙은 단지가 속출하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공공기관이 기반을 닦고 민간이 채운 구조였던 만큼 기본적으로 투자 실패는 개인이 지지만 지자체도 인허가 및 분위기 조성에 일조한 책임이 있는 만큼 방관만 해선 안 된다"며 "인프라 부족으로 향후 관광객이 몰릴 가능성 또한 제한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피해는 고스란히 수분양자들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