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집합건물소식

대출 규제로 오피스텔시장도 침체

신형범 기자 입력 2025.07.24 18:48 수정 2025.07.24 18:49

정부의 대출 규제가 시작된 7월 서울 오피스텔 매매·전세·월세 거래량 모두 6월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 등 주요 지역 아파트 값 상승을 막기 위한 정책이 오피스텔 시장까지 위축시킨 것으로 이어졌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7월 1~22일 서울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은 432건으로 6월 937건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신규 계약은 6월 1013건을 기록한 뒤 7월 들어 544건으로 46% 줄었다. 월세는 3838건(6월)에서 55.7% 감소한 1699건을 기록했다.

계약 후 30일인 부동산거래 신고기한과 이달의 남은 기간을 감안하면 거래량이 다소 늘 수는 있지만 6월과 비교하면 거래량 감소는 확실해 보인다. 실제로 중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오피스텔은 매매보다 전·월세 거래가 활발한 편인데 최근에는 문의마저 끊겼다”고 말했다.

대출 규제로 수도권·규제지역에서 아파트를 매수하기 위한 주택담보대출이 무주택자에게는 한도가 6억 원으로 묶였고 다주택자는 전면 금지됐다. 오피스텔은 주택이 아닌 ‘준주택’으로 분류돼 이 같은 규제 적용에서 비껴서 있었다. 이에 오피스텔 시장은 반사 이익을 볼 수도 있겠다는 기대감이 있었지만 부동산시장은 전반적 침체로 이어지고 있다.

 

오피스텔시장의 침체 원인은 7월부터 시행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규제가 꼽힌다. DSR 3단계 규제가 아파트 뿐만 아니라 오피스텔에도 적용되면서 담보대출의 한도가 줄어들어 거래 위축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한 부동산전문가는 “오피스텔 투자의 주 목적은 임대 수익이고 투자목적이 아파트와 다르기 때문에 이번 대출 규제도 아파트를 대신할 대안이 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대출 한도가 축소되면서 오피스텔의 주요 수요층인 청년·신혼부부의 보증금 마련 부담이 커진 것도 배경으로 꼽힌다. 정책 대출 중 전세 대출인 버팀목 대출 한도는 청년(18~34세)은 전 지역에서 2억 원에서 1억5000만 원으로, 신혼부부는 수도권 3억 원에서 2억5000만 원으로 각각 줄었다.

한편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2분기 오피스텔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매매 가격 상승률은 지난 1분기 0.03%에서 0%로 둔화됐다. 올 상반기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 상승률 3.41%보다 낮은 수준이다.



저작권자 ㈜한국집합건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